728x90

사자성어 3

하기실음 관두등가(河己失音 官頭登可), 일직집애 가고십다 (日職集愛 可高拾多),염병하내(鹽昞下內)

日職集愛 可高拾多 (일직집애 가고십다) →​하루 업무에 애정을 모아야 능률도 오르고 얻는 것도 많다 溢職加書 母何始愷 (일직가서 모하시개) →​​일과 서류가 넘치는데 애들 엄마가 좋아 하겠는가 ​ 河己失音 官頭登可 (하기실음 관두등가) →​물 흐르듯 아무 소리 없이 열심히 일하면, 높은 자리에 오를 수 있다 ​ 鹽昞下內 (염병하내) →​세상의 소금이며 빛과 같은 존재이지만 늘 자신을 낮춘다 ​

사자성어 2022.01.17

반포보은, 反哺報恩, 반포보은(反哺報恩), 反哺之孝'(반포지효)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답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함으로써 효를 행함을 말하는 것이다. 반포보은(反哺報恩) 反 : 돌아올 반, 哺 : 먹일 포, 報 : 갚을 보, 恩 : 은혜 은 反哺之孝'(반포지효) 反 : 돌이킬 반, 哺 : 먹일 포, 之 : 어조사 지, 孝 : 효도 효 자식이 커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성

사자성어 2022.01.06

迂直之計(우직지계),우직지계(迂直之計), 길을 곧바로만 가는 것이 아니라 돌아갈 줄도 알아야 한다는 뜻이다.

迂直之計(우직지계), 우직지계(迂直之計) 길을 곧바로만 가는 것이 아니라 돌아갈 줄도 알아야 한다는 뜻이다. 가까운 길을 멀리 돌아서 가는 지혜 ‘우직지계’는 직설법이 아닌 우회적인 화법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때 쓰는 말이다. 우직지계(迂直之計)는 손자병법 군쟁편(軍爭篇)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가까운 길이라고 곧바로 가는 것이 아니라 돌아갈 줄도 알아야 한다는 병법의 한 가지 계책으로서 비효율적으로 보이는 것이 실제는 효율적이라는 뜻으로 ‘돌아가는 것이 지름길’임을 시사한다. 2021.12.08 - [속담, 격언 등] - 건강십훈(健康十訓), 소육다채(小肉多菜) : 육식은 적게 하고 채소는 많이 먹는다 2021.12.08 - [속담, 격언 등] - 朱子十訓(주자10훈), 주자10훈(朱子十訓), 不孝父母 ..

사자성어 2022.01.0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