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유통기한은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한’을 뜻한다.
‘식품의 수명’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의 차이를 모르고 버려지는 가공식품이 한 해 7천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2023년 1월 1일 부터 식품에 적힌 '유통기한'이
소비자가 실제로 섭취할 수 있는 기한을 나타낸 '소비기한'으로 바뀐다고 한다.
소비기한으로 변경되는 것은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판매가 허용되는 기간이 아닌
식품을 먹어도 안전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최종 소비기한을 표시한다는 것이다.
유통기한 : 유통자가 제품을 시장에 내놓아도 되는 최대 일시
소비기한 : 구입한 사람이 어제까지 사용 가능한가 나타내는 일시
식품의 종류나 유통 보관방식에 맞게 보관해야 한다.
식품별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 우유 : 유통기한 경과 후 50일
- 소 주 : 유통기한 경과 후 1년
- 요구르트 : 유통기한 경과 후 20일
- 달 걀 : 유통기한 경과 후 25일
- 두 부 : 유통기한 경과 후 90일
- 식 빵 : 유통기한 경과 20일
- 라 면 : 유통기한 경과 후 8개월
- 치 즈 : 유통기한 경과 후 70일
- 식용유 : 유통기한 경과 후 5년
- 고추장 : 유통기한 경과 후 2년이상
- 요거트 : 유통기한 경과 후 10일
- 통조림 : 유통기한 경과 후 1년
- 마요네즈 : 유통기한 경과 후 11개월
- 참치캔 : 유통기한 경과 후 10년이상
- 쌀 : 유통기한 경과 후 1년

728x90
'지역복지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을 분실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0) | 2021.10.26 |
---|---|
핸드폰을 주웠어요, 어떻게 하나요?? ( 핸드폰을 습득하면 어떻게 하나) (0) | 2021.10.26 |
현명한 부모 체크리스트를 통해 진단해 보세요. (0) | 2021.10.20 |
자원봉사는 너무 행복하다. 자원봉사란 (0) | 2021.10.17 |
게임중독 징후 (인터넷 증독 증상), 게임중독 예방방법을 찾아보자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