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작은실천큰행복 38

제로웨이스트를 알고 있나요?, 제로 웨이스트 실천 방법

여름에 비가 오지 않는 뙤약볕이나 집중 폭우와 같은 장마는 기후위기이기도 하다. 왜 그럴까 우리 1인당 연간 96개의 페트병, 65개의 플라스틱 컵, 460장의 비닐봉지를 사용한다고 한다. 요즘 플라스틱 생활폐기물이 늘어난 이유는 코로나19의 장기화와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소비 양식의 변화로 온라인 주문 또는 소포장 제품 구매로 많은 쓰레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런 기후의 재앙의 원인에 무분별한 쓰레기 배출에도 이유가 있다. 이를 막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제로웨이스트를 알아 보겠다. ● 제로웨이스트를 알고 있나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는 쓰레기 배출을 ‘0(제로)’에 가깝게 최소화하자는 것으로 모든 제품이 재사용될 수 있도록 폐기물을 방지하는 것이다. 환경이나 인간의 건강을 위협..

수수료를 낼 필요도 지정된 장소까지 운반하지 않아도 되는 폐가전제품 배출예약시스템,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수수료를 낼 필요도! 지정된 장소까지 운반하지 않아도 되는 폐가전제품 배출예약시스템,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비용은 무료로 배출은 편하게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1.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란? 수거기사가 직접 가정을 방문하여 무거운 폐가전 제품을 수거해가는 서비스이다. 비용은 무료로 배출은 편하게 서비스를 받는다. 인터넷(www.15990903.or.kr), 모바일(www.15990903.or.kr), 전화(1599-0903)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전 예약한다. 2.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주요내용 환경부, 지자체, 전자제품 생산자는 국민이 보다 손쉽게 예약 한번으로 폐가전제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새로운 수거 체계를 구축했다.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이하 '공제조합')..

무심코 버리는 하수처리는,가정에서 하수처리장 까지

무심코 버리는 하수처리는 우리가 쓰고 버린 설거지 물과 대소변을 보고 버리는 물을 그냥 하천으로 흘러 보냈더니 주변 하천의 오염과 하천바닥이 부패하여 악취가 나고 수질오염으로 물고기등 수중생물들이 살 수 없게 되었다. 그주위에 사는 사람들도 악취가 나서 살 수 없는 환경이 초래되었다. 이런 환경을 극복하고자 오염수를 모두 한 곳으로 모아 다시 쓸 수 있는 물로 만들어 하천으로 되돌려 주는 것을 하수처리라고 한다. 하수처리의 목적 도시의 오수 및 생산활동으로 발생되는 산업폐수등을 처리하여 배출함으로써 생태환경보존, 수질보전,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기 위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수도 및 하수처리의 주요기능 하수도란 : 하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하수관거, 하수처리장, 기타 하수처리를 처리하는데 관련된 시설..

작은실천큰행복/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

작은실천큰행복 생활하수가 깨끗한 물이 되려면 오염된 물을정화하느데 필요한 물의 양 원래 물은 스스로 정화작용을 해서 맑아질 수 있지만 오염물질이 너무 많으면 스스로 정화하지 못한다. 그래서 하수처리장에서 처리시설에서 여러 단계를 거쳐 물을 정화하는데 미생물이 오염 물질을 분해하게 하고 살균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오염된 물을 되살리는 방법 중 일반적인 것은 오염된 물에 깨끗한 물을 섞는 희석법이다. 오염된물을 정화 하는데 필요한 맑은 물의 양을 알아보자. 물의 자정 작용을 요구되는 물의 양은 얼마나 될까 쌀뜨물 : 600배 라면국물 : 5,000배 (라면국물 한 숟가락 정화하는데 50L의 맑은 물=2L짜리생수25병) 된장국 : 7,050배 김치찌개 : 3,500배 우유 : 15,000배(우유 한 숟가락 정..

작은실천큰행복/ 머리 감을 때 샴푸 대신 비누를 쓰고, 린스 대신 식초를 한두 방울 물에 넣어 헹군다.

작은실천큰행복 생활 속에서 작은 실천 머리 감을 때 샴푸 대신 비누를 쓰고, 린스 대신 식초를 한두 방울 물에 넣어 헹군다. 빨래를 헹굴 때 섬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말고 식초를 사용한다. 음식물 찌꺼기, 머리카락, 화장지 등으로 하수구가 막힐 경우 강력 세제 대신 베이킹 소다를 이용한다. 뜨거운 물과 베이킹 소다 반 컵을 하수구에 부어 보고 뚫리지 않을 경우에는 베이킹 소다에 식초를 반 컵 섞어 뜨거운 물과 함께 부으면 효과적이다. 변기 청정제 대신 더운 물에 찻숟가락 하나 정도의 붕산을 녹여 사용해 본다. 설거지를 할 때 쌀뜨물을 쓴다. 하지만 쌀뜨물도 그냥 버리면 수질 오염을 일으키니 다 쓰고 난 후 화분에 주는 물로 활용하면 좋다. 채소 데친 물도 훌륭한 세제가 된다.

직장에서 저탄소생활 실천방법

작은실천큰행복 직장에서 저탄소생활 실천방법 첫째 쿨맵시! 여름엔 넥타이를 풀고 겨울엔 내복을 입기. 노타이나 긴 소매 스웨터 착용만으로도1℃~2℃의 체감 효과를 볼 수 있다. 여름철 냉방 온도는 26℃~28℃, 겨울철 난방 온도는 18℃~20℃로 유지한다. 둘째 퇴근 시 전기 플러그를 뽑기. 대기전력은 에너지 제품 이용 전력의 약 10%를 차지한다. 사무실마다 메인 스위치를 설치하면 전기 낭비를 손쉽게 줄일 수 있다. 셋째 컴퓨터를 쓰지 않을 때는 전원을 끄기. 컴퓨터를 한 시간 켜 놓을 경우 100Wh의 전기가 낭비된다. 컴퓨터 모니터와 하드디스크에 절전모드를 설정한다. 넷째 4층 이하는 계단을 이용하기. 엘리베이터 1회 이용 시 약 30Wh의 에너지가 소모되며 12.7g의 CO₂가 발생한다. 다섯째 ..

탄소포인트 참여방법과 가정에서 저탄소생활 실천방법

작은실천큰행복 탄소포인트 참여방법과 가정에서 저탄소생활 실천방법 1. 탄소포인트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하여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도록 가정, 상업, 아파트단지 등에서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의 사용량을 절감하고 감축률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지급하는 전국민 온실가스 감축실천 제도이다. 2. 탄소포인트 참여시 ◦에너지 절감을 하고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고 ◦국가 경쟁력을 강활할 수 있다. 3. 탄소포인트 참여방법 ① 직접 참여 : 탄소포인트 홈페이지(www.cpoint.or.kr) 가입 ② 신청서 작성 : '탄소포인트 등록 신청서'를 작성하여 시 · 군 · 구 환경과, 주민자치센터에 직접 제출 또는 팩스로 제출 4. 가정에서 저탄소생활 실천방법 첫째 여름엔 26℃ 이상, 겨울엔 20℃ 이하로 유지하기. 냉난방..

지구를 살리고 연료비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운전 10가지 약속

작은실천큰행복 지구 온난화 등 환경문제의 온실가스 친환경운전에 관심을 갖고 실천해 나가면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 지구를 살리고 연료비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운전 10가가지 약속을 꼭 지켜갑시다. 1. 경제속도(60~80km/h) 준수하기 경제속도(60~80km/h)를 준수하고 교통상황에 따라 정속주행 하세요. 정속주행을 하면 연비를 높일 수 있고, 배출가스도 줄일 수 있다. 속도변화가 큰 운전을 하면, 연료가 6% 정도까지 더 소비된다. 2. 급출발, 급가속, 급감속 하지 않기 출발 시 처음 3초간 시속 20km 정도까지 천천히 가속하여 출발하고, 급가속과 급감속은 하지 마세요. 3급(급출발, 급가속, 급감속) 하면 연료소모도 많아지고 오염물질 배출도 증가한다. 3. 불필요한 공회전은 NO 대기 중..

자동차공회전 금지 / 자동차 공회전 하지 맙시다

작은실천큰행복 자동차 공회전 하지 맙시다 자동차공회전 금지 / 자동차 공회전 하지 맙시다 1. 자동차에서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매연,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물질이 배출되어 사람의 호흡기에 쉽게 침투하여 폐렴 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에게 큰 피해를 일으킨다. 2. 자동차 공회전시에는 배출가스 온도가 낮아(약 200~300℃) 자동차에 부착되어 있는 정화장치(삼원촉매장치)효율이 10%이하로 떨어져 주행시와 비교하여 일산화탄소는 6.5배, 탄화수소는 2.5배 더 많이 배출 된다. 또한 과도한 공회전은 윤활유의 유막형성기능을 약화시키고, 점화플러그․실린더벽에 기름찌꺼기를 만들어 엔진체계를 손상시킬 수 있다. 3. 내차가 10분동안 공회전 안하면 승용차의 경우 3㎞, 경유차의 경우 1...

작은실천큰행복/ 빗물 오염(비점오염원) 바로 알고 실천하기

작은실천큰행복 시원하게 내리는 빗방울을 보니 참 시원하다. 어찌 사람뿐이겠는가 나무들도 예쁜 꽃들도 시원하게 즐기는 모습으로 보인다. 비는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될 소중한 자연의 선물이다. 그런데 비가 내리면 우리가 버린 오염물질이 빗물을 타고 강으로 바다로 흘러든다. 이렇게 강과 바다가 오염되면 물속에 물고기나 다른 생물들이 살기가 어려워지고 그 오염된 물과 생선을 먹게 된다. 악순환을 해결을 위한 빗물오염에 대해 공부하고자 한다. 빗물 오염(비점오염원) 바로 알고 실천하자. 1. 빗물 오염(비점오염원)이란 지면 위의 쓰레기나 배설물, 자동차 기름 등이 빗물에 씻겨 강이나 바다로 흘러들어 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말한다. 평소 주위에 널려 있던 오염물질들이 빗물을 타고 우수로(雨水路)로 흘러가는데 우수로에 ..

728x90